透過您的圖書館登入
IP:18.216.150.3
  • 期刊

한국어 이중모음 /ㅢ/의 자질과 표준발음교육에 대하여

韓語雙元音/ㅢ/的區別特徵與標準發音教育|A study on Korean diphthong /ㅢ/ and standard pronunciation education

摘要


한국어 이중모음/ㅢ/은 어휘뿐만 아니라 속격 조사로도 두루 쓰여 사용 빈도가 매우 높다. 본 연구는 한국어 이중모음/ㅢ/의 다양한 변이음을 연구 과제로 삼았다. 이는 해외 한국어 발음교육에 그 의의가 있다고 여긴다. 본 연구는 한국어 '표준어 규정' 제5항의 규정을 근거로 하여 음성학 및 음운학적으로 [ɨ], [i], [e] 다양한 변이음이 발생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모음/ㅢ/는 음성적 자질의 변별에서 반모음과 주모음 판별의 모호성으로 인하여 [ɨj]〉[ɨ], [щi]〉[i] 두 가지 변이음이 생성되 어서 출현 위치와 형태소 배합에 근거해 [ɨ] 또는 [i]로써 발음된다. 둘째, 『노걸대언해본』을 참고하여 속격조사 ‘의’의 기능을 역사 문헌 고증법으로 고찰하면서 변이음 [e]가 한어漢語 ‘的’의 기능 으로써인 민남어 [ê]음이 대만인 학습자의 발음 인지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탐구해 보았다. 또한 한국인 모어자들의 변이음 선호 습성도 해외 학습자의 발음 인지에 주요인으로 작용함도 강조하여 문제점 개선을 촉구하며 다양한 변이음의 생성 요인과 조건을 이해하여 발음과 정서법에서 올바로 사용해 오류 방지를 위한 참고 자료로 쓰여지기 바란다.

並列摘要


韓語雙元音/ㅢ/不僅在詞彙或是格助詞的使用上,皆是使用頻率非常高的音韻。本研究以韓語雙元音/ㅢ/的多種變異音使用爲硏究課題,這對海外韓語發音敎育是具有意義的。本研究探討造成在語音及音韻學上[ɨ],[i],[e]產生多種異音的因素,也探討韓語格助詞裡/ㅢ/轉音[e]的現象。經過本硏究獲得結論如下:第一,雙元音/ㅢ/在音韻特徵的識別上,由於半元音和主元音辨別的模糊性,因而產生[ɨj]〉[ɨ],[щi]〉[i]的兩種異音。它的異音根據在詞彙的使用位置,分別選[ɨ]或[i]音來發音。第二,雙元音/ㅢ/以格助詞的形態出現,本硏究探討格助詞的/ㅢ/異音爲[e],參考『老乞大諺解本』採取歷史文獻考證法進行。格助詞‘의’相等於漢字‘的’功能,其讀音是否承襲自漢語中高音,如:閩南語[ê],來試探對漢語作爲母語使用的臺灣學習者對格助詞異音[e]的認知樣相。另外,韓語母語者發音習性也對外國學習者的標準發音學習具有影響力,也是造成海外敎育現場的困境和局限,不能疏忽。總結來說,本研究將有助於外國初階學習者意識到自己可能誤解母語者的偏好發音方式,並且/ㅢ/需要掌握音韻特徵和形態學的條件,才能了解異音之間的差別,進而可防止發音和書寫上的錯誤。|The Korean diphthong /ㅢ/ is used not only as a lexical word but also as a possessive particle. Therefore, it is used very frequently in daily life. This study focuses on the various allophones of the Korean diphthong /ㅢ/ to examine the factors that generate the various allophones [ɨ], [i], and [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inction between semivowels and vowels in terms of phonetic features is ambiguous in the Korean language. Consequently, /ㅢ/ has two allophones [ɨ] or [i]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occurrence and the morpheme combination. Second, the allophone [e] of the possessive particle '의' was examined by referring to『노걸대언해본Nogeoldaeeonhaebon』Furthermore, the cognitive tendency of Taiwanese learners to be influenced by the pronunciation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的[ê]' in Minnan Chinese was also examined. Finally, since the preference for ligatures among native Korean speaker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tandard pronunciation learning environment for foreign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help foreign students to grasp the accurate pronunciations and spelling of /ㅢ/ as well as preventing pronunciation and writing errors.

參考文獻


김민수(1983).신국어학.서울:일조각.
이기문,김진우,이상억(1984).국어음운론.서울:일지사.
이호영(1996).국어음성학.서울:태학사.
허웅(1976).국어음운학.서울:정음사.
김성옥(2023).16~20 세기 한글편지에서의 처격 ‘ㅢ’에 대한 음운사적일고찰.국어국문학.203,1-33.

延伸閱讀